기본 문법(1) : 주석

주석(comment)은 코드에 대한 설명이나 메모 등을 코드에 남기는 방법입니다. 주석은 파이썬에서 실제로 실행되지는 않습니다. 주석은 """ , 쌍따옴표 3개를 사용해 여러 줄로 만들거나 # 을 사용해 한 줄로 사용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.

def function():
    """
    Description of the function
		New line
    """
    print("something") # this is comment
		# comment

앞으로 주석이 나오면 코드에 대한 보충 설명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. Ctrl + / 또는 Cmd + / 를 누르면 한 줄 주석이 만들어집니다. 아래 코드를 입력한 다음 주석 처리를 해 보세요.

print(something)
print(something)
# print(something)
# print(something)

기본 문법(2) : 변수

변수란 어떤 값을 담고 있는 주머니와 같습니다. = 왼쪽에 변수의 이름을, 오른쪽에 담고 싶은 값을 넣어주면 됩니다.

<aside> 💡 참고로 수학에서는 = 가 있으면 좌변과 우변이 같은지를 물어보는 것인데, 프로그래밍에서는 좌변에 우변의 값을 넣어준다는 의미입니다.

</aside>

integer 는 정수를 의미하는 단어이므로 정수를 넣어주고, real_number 는 실수를 의미하므로 실수 값을 넣어줍니다.

integer = 1
real_number = 1.0001

문자열은 텍스트 자체를 표현하기 위한 방법으로 쌍따옴표로 묶어주면 됩니다. string 은 문자열을 의미하므로 문자열을 넣어서 변수를 선언했습니다.

string = "Hello World"

이처럼 변수의 이름을 정할 때는 이름을 통해 해당 변수가 담고 있는 값이 무엇인지, 그리고 어떤 의미를 담고 있는지 유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이름 규칙

사소해 보이지만, 변수의 이름은 무조건 소문자로 시작해야 하고, 여러 단어를 구분할 때에는 _ 언더바를 사용합니다.

multiple_words_are_used

기본 문법(3) : 함수 실행