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번 시간에는 파이썬의 기본 자료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파이썬에서 자료형은 "시퀀스 자료형"과 "콜렉션 자료형" 두 가지가 가장 중요합니다. 그런데 자료형이란 무엇을 의미할까요?
자료형이란 컴퓨터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을 의미합니다. 예를 들어 컴퓨터에 숫자를 저장한다고 해봅시다.
my_number = 1
my_number
라는 이름으로 숫자 1을 저장했습니다. 그런데 만일 숫자를 100개를 저장해야 한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?
my_number1 = 1
my_number2 = 2
my_number3 = 3
...
my_number100 = 100
조금 힘들지만 위처럼 할 수 있습니다. 그런데 문제는 각 숫자들은 분명 my_number
라는 의미를 담고 있는데, 각 값은 변수별로 별도로 저장되게 됩니다. 그래서 프로그래밍에서는 같은 의미를 지닌 값들을 한데 모아서 저장할 수 있는 방법을 만들었습니다. 지금부터 배울 시퀀스 자료형과 콜렉션 자료형이 그런 유용한 자료형에 속하는 것이죠.
graph TD
자료형 --> 시퀀스
시퀀스 --> 리스트
시퀀스 --> 튜플
시퀀스 --> 문자열
자료형 --> 콜렉션
콜렉션 --> 딕셔너리
콜렉션 --> 셋
시퀀스 자료형이란 Sequence 라는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"순서대로" 저장되는 자료형입니다. 대표적인 시퀀스 자료형에는 list와 tuple 그리고 문자열이 있습니다.
리스트는 한 변수에 여러 개의 값을 담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. 예를 들어 1부터 10까지의 정수를 담고 있는 리스트는 다음과 같이 선언합니다. 먼저 리스트를 담을 변수를 선언하고, 우변에 대괄호로 묶인 값들을 콤마로 구분해 넣어줍니다.
list_of_int = [ 1, 2, 3, 4, 5, 6, 7, 8, 9, 10 ]
리스트 안의 콤마로 구분된 값들을 원소(element)라고 부르며, 이 원소를 참조하려면 다음과 같이 할 수 있습니다.